2023년부터 만나이가 시작됩니다. 대부분 1살 이상 어려지는것 같습니다, 언제부터 시행되며, 어떻게 만나이를 계산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에서만 시행되던 복잡한 나이 계산법, 그리고 떡국나이는 이제 사라질 예정입니다. 영원히 안녕~ 대신, 2023년부터는 만나이가 적용이 됩니다.
만나이는, 윤석열 대통령 후보시절 공약이기도 하였습니다.
만나이 적용은 2022년 12월 공포된 개정안으로, 공포이후 6개월이 지나면 바로 적용이 됩니다. 그러니깐 내년 2023년 6월 정도가 되겠네요.
그리고 가장궁금해 하시는 만나이 계산법은 어떻게 될까요?
만나이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1살씩 늘어납니다. 태어난 해가 같더라도 주민등록상 생일이 지나야 1살을 더 먹습니다.
만나이 계산법이 헷갈릴수도 있으니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뺍니다. (현재연도 2022년 - 출생연도 1977 = 45)
그러면, 45살입니다. 여기서 생일이 지났으면 그대로 45살 그리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1살을 빼서 44살이 되는것입니다. 혹시 이해가 되셨나요? 음, 저는 처음에 바로 이해가 안되더라구요 ㅎㅎ
더 직관적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2023년도가 되었을때 기준입니다.
00년생 생일전 22세 생일후 23세
99년생 생일전 23세 생일후 24세
98년생 생일전 24세 생일후 25세
97년생 생일전 25세 생일후 26세
96년생 생일전 26세 생일후 27세
95년생 생일전 27세 생일후 28세
94년생 생일전 28세 생일후 29세
93년생 생일전 29세 생일후 30세
92년생 생일전 30세 생일후 31세
91년생 생일전 31세 생일후 32세
90년생 생일전 32세 생일후 33세
89년생 생일전 33세 생일후 34세
88년생 생일전 34세 생일후 35세
87년생 생일전 35세 생일후 36세
86년생 생일전 36세 생일후 37세
85년생 생일전 37세 생일후 38세
84년생 생일전 38세 생일후 39세
83년생 생일전 39세 생일후 40세
82년생 생일전 40세 생일후 41세
81년생 생일전 41세 생일후 42세
80년생 생일전 42세 생일후 43세
79년생 생일전 43세 생일후 44세
78년생 생일전 44세 생일후 45세
77년생 생일전 45세 생일후 46세
76년생 생일전 46세 생일후 47세
75년생 생일전 47세 생일후 48세
74년생 생일전 48세 생일후 49세
73년생 생일전 49세 생일후 50세
72년생 생일전 50세 생일후 51세
71년생 생일전 51세 생일후 52세
70년생 생일전 52세 생일후 53세
파운드케익 20개가 11,900원, 바로 사먹으로가기~
https://new.market09.kr/land.php?sl=2HpQ
오케이~여기까지, 힘드네요 ㅎㅎ
아마도 대부분 만나이를 적용해보면, 1살에서 많케는 2살까지 현재보나 줄어들었으리란 생각을 해봅니다. 여하튼 좋은것 같습니다. 세계적으로 나이계산법으로, 만나이로 대부분 시행하고 있다고 하니, 같이 가는게 맞겠죠 ㅎㅎ
그럼, 또 다른 유용한 정보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할때 종교단체 절,교회 기부금은 공제가 가능할까? (2) | 2023.01.09 |
---|---|
소변이 마렵지 않은데도 화장실을 자주간다면 무엇이 문제일까? (5) | 2023.01.05 |
월세 계약 후 이행 전, 집주인의 명의 변경으로 인해 월세를 올린다고 한다면? 공인중개사의 답변은? (0) | 2022.12.12 |
중고거래 당근마켓에서 직거래 이후 환불요청 법적으로 과연 가능할까요? 변호사의 답변은? (0) | 2022.12.11 |
김해 장유 율하동 율하천 카페거리 착한식자재 전단지 영업 #1 (0) | 2022.12.01 |
댓글